충치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 예방
충치란 무엇인가?
충치는 치아에 생긴 썩은 구멍을 말합니다. 충치는 작게 시작해서 치료하지 않으면 점점 커집니다. 충치는 초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어 스스로 질환을 자각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초기에는 아프지 않고 눈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정기적인 구강검진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충치는 전세계에서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입니다. 치아를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충치가 생길 수 있습니다.
구강관리를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충치가 생겼다는 사실을 알면 놀랄 것입니다. 그러나 초기에 발견하면 치료가 어렵지 않으며 새로 생길 수 있는 충치를 예방 할 수 있습니다.
충치의 증상들
충치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충치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시린이(지각과민)
치통(치아통증)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치아에 생긴 구멍
치아에 검은색이나 하얀색 착색
충치의 원인
충치의 원인은 플라그입니다. 플라그는 치아에 달라 붙는 끈적한 물질로 플라는 아래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세균
침
산(Acid)
food particles
누구나 구강 내에 세균이 있습니다. 설탕이 들어간 음료나 음식을 먹으면 구강내의 세균이 설탕을 산성분으로 바꿉니다. 플라그가 치아에 형성 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매일 규칙적으로 칫솔질을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플라그는 치아에 달라 붙습니다. 플라그 산은 천천히 치아에나멜을 부식시킵니다.
치아에나멜을 딱딱한 조직으로 충치로부터 치아를 보호합니다. 치아 에나멜이 약해졌다면 충치의 위험이 높아진 것입니다.
모든 사람들은 충치의 위험에 노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위험도가 높고 어떤 사람은 위험도가 낮습니다. 충치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산성분과 설탕이 많이 들어간 음식과 음료 과섭취
불량한 구강관리
치아재광화진재(불소,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등)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구강건조증
식이장애
역류성식도염(위산의 역류로 치아 에나멜 부식)
충치는 어금니에 잘 생기는데 칫솔이나 치실이 잘 닿지 않고 씹는 면에 미세한 그르부가 있어 플라그가 잘 생겨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충치치료 방법
구강 검진과 X-ray를 통해 충치의 크기, 위치, 모양을 관찰 한 후 치료계획을 세웁니다. 치료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아래와 같습니다.
치아 충전
충치를 드릴로 제거한 후 아말감, 금, 레진 등으로 충전하여 수복합니다.
크라운
면적인 넓고 깊은 충치의 경우 충치를 모두 제거 후 자연치아의 머리부분(크라운)을 대체하는 보철물을 만들어 씌웁니다.
신경치료
충치가 치아내부의 신경조직까지 감염시킨 경우 치아를 살리기 위해 신경을 제거하는 치료를 한 후 크라운을 만들어 씌웁니다. 크라운(치아머리)을 씌우기 위해 남아 있는 자연치아가 적을 경우 치아 내부에 기둥(포스트)를 세우고 코아를 형성 후 크라운을 씌웁니다.
초기 충치 치료
초기 충치를 탈회라고 하는데 치아 에나멜을 재광하는 치료로 회복시키거나 충치로의 진행을 차단합니다. 이를 치아재광화촉진이라고 하며 불소(Fluoride),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no hydroxyapatite), 칼슘포스페이트(CPP ACP) 등이 사용됩니다.
통증 조절
치료를 기다리면서 단기적으로 충치로 인한 통증을 조절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하던 대로 구강관리를 열심히 합니다. 충치가 있다고 느끼는 부분을 잘 닦습니다. 세균제거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진통제를 복용합니다.
먹는 것을 조심하세요. 아주 차거나 뜨거운 음식을 멀리합니다.
충치로 인한 합병증
충치는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은 충치로 인한 합병증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속적인 치통
치아 뿌리나 주변의 감염으로 인한 염증.
염증으로 인한 고름 주머니 생성
치아가 깨지거나 부러질 위험 증가
음식물 섭취의 어려움
충치는 초기충치를 제외하고는 원래 대로 회복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질환입니다.
충치가 생겼다면 즉시 치료하는 것이 치아 손상을 최소화 하는 길이며 참고 계속 방치하면 치아를 뽑아야 합니다. 치아를 뽑으면 임플란트나 브릿지등 의 고가의 수복치료를 해야 합니다.
충치 예방
충치의 위험을 줄이는 생활습관은 아래와 같습니다.
하루 세 번 양치질
하루 한 번 치실 사용(치아와 치아 사이)
설탕이나 산 성분의 음식 자제
간식 자제 : 간식 후 칫솔질
어금니 씹는 면에 씰란트 : 씹는 면을 잘 닦아야 함
충치예방에 도움이 되는 음식들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과일과 채소
칼슘이 풍부하게 들어간 음식
자일리톨 등 무설탕 츄잉 검: 타액분비촉진
감미제가 첨가 되지 않은 녹차
불소,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CPP-ACP등의 치아재광화 촉진제
'충치예방(치아재광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치가 잘 생기는 부위! 씹는면과 치아사이~ (0) | 2019.09.19 |
---|---|
충치예방은 끈기와 습관이다. (0) | 2019.09.09 |
치아미백의 부작용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0) | 2019.09.06 |
치아미백 생각하세요? 집에서? 치과에서? (0) | 2019.09.06 |
치아에 생긴 하얀 점(White spot)의 예방과 치료 (0) | 2019.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