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소 안전 불감증!
독성 보다는 충치예방물질이라는 좋은 이미지로만 알려진 불소
심지어 불소를 미네랄이나 비타민처럼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의 하나로 먹어도 된다고 말하는 어이 없는 현실!
불소가 정확히 어떤 물질인지 알아야 불소로 충치를 예방하던, 쥐를 잡던, 살충제로 사용하던, 반도체를 세척하던, 프라이펜을 만들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불소(F2) 란?
상온에서 옅은 황록색 기체로 자극성 냄새가 나며 적은 양으로도 강한 독성을 띰
지구상에서 가장 반응성이 높은 물질(산화제)로 헬륨과 네온 이외의 모든 원소와 반응하여 다양한 불소화합물을 생성
높은 반응성과 독성으로 살충제(바퀴벌레 퇴치제등)로 사용됨
치아에 얇은 막을 입혀 주는 충치예방 효과가 커 치약에 소량 함유됨(다양한 불소화합물 중 치약에 들어가는 것은 불화나트륨 NaF)
반응성 최고! 다양한 불소화합물의 예:
*최근 일본에서 삼성과 하이닉스에 공급하지 않겠다고 한 불소화합물은 불화수소(HF)
*고어텍스로 잘 알려진 테플론은 불소화합물 중 CF2
불소 유해·위험성 정보
관용명 : 플루오린
NFPA 지수
- 보건 : 4(응급상황에서 사망을 초래할 수 있음)
- 화재 : 0
- 반응 : 4(쉽게 폭발, 분해, 반응하는 물질)
- 금수성 물질, 산화성 물질
증기비중(공기=1) : 1.3(공기보다 조금 무거움)
독성 : 급성독성(흡입) LC50(4시간, 쥐) 92.5ppm
노출기준 : TWA 0.1ppm(0.2㎎/㎥)
분자량 : 38g/mol
유해위험문구 : 화재를 일으키거나 강력하게 함, 흡입하면 치명적임
유해·위험요인
가스를 흡입할 경우 건강에 치명적임
높은 반응성으로 상온에서 물 등과 반응하여 불화수소(산) 등 유독물을 생성함
1회/ 반복노출에 의해 폐염증·기침·발열·폐수종이 나타남
불소를 지속적으로 섭취하여 중독될 경우 뼈에 변형을 일으킬 수 있음
불소재해사례 : 중국 불소 중독 사례
개요
2003년 기준 중국에서 가장 유행하는 질병은 불소중독으로 환자가 4,000만명을 넘어섰으며, 치아가 삭거나 변색하는 치아불소반점 증세를 보이는 환자가 3,877만명, 뼈가 휘거나 요통·관절염을 일으키는 불소골증 환자가 284만명으로 확인됨
중국 서남부에서 석탄화력을 이용해 옥수수, 고추 등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석탄과 점토에 많이 함유된 불소성분이 이들 식품에 흡수되고 이를 장기간 섭취한 주민들에게 중독현상이 발생함.
불소중독은 예방만 가능할 뿐 특별한 치료 법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들이 평생 고통을 받고 있음
※ 출처 : 한계레‘중국인 30명중 1명 불소중독’(2005-8-22)
원인
불소가 함유된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섭취
불소함량이 높은 석탄 사용으로 오염된 공기를 장기간 호흡
재난방지대책
불소 취급 장소에서는 방독마스크 등 개인용 보호구를 착용
화학물질의 성분을 확인하고 불소가 포함된 불소화합물은 음식물과 함께 보관 금지
불소 및 불소화합물 취급장소에서는 음식물 섭취 금지
출처 및 참고: 안전보건공단 2014년 교육미디어자료
'충치예방(치아재광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나멜(법랑질)은 치아의 피부와 같습니다! (0) | 2019.07.23 |
---|---|
치아변색(착색)의 원인, 예방과 치료~ 활짝 웃으세요! (0) | 2019.07.22 |
불소의 한계와 충치예방의 대안들 (0) | 2019.07.20 |
미국의 불소논쟁: 독이냐 약이냐? 너무나 다른 시각차~ (0) | 2019.07.20 |
불소가 충치예방을 위한 만병통치약이 된 재미난 이야기~ (0) | 2019.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