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교정시 있을 수 있는 부작용
치근의 흡수=교정치료를 하면 치근(치아의 뿌리)이 뼈 속을 이동하는 동안 흡수돼 짧아질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교정치료에 의한 흡수의 정도가 경미해 치아의 수명이나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는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하지만 갑상선 질환 같은 전신적 질환이나 원인불명으로 치근이 심하게 흡수될 수도 있어 때에 따라 교정치료를 중단하고 신경치료를 해야 한다.
잇몸의 퇴축=잇몸의 퇴축(잇몸이 밑으로 내려가 치근이 노출됨)은 치아의 위치가 비정상적인 경우, 선천적으로 잇몸이 약한 경우 등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특히 나이가 들수록 잇몸의 퇴축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성인이 돼 교정치료를 하거나 너무 오랜 기간 동안 교정 장치를 하는 경우, 잇몸 퇴축이 보다 빨리 진행될 수 있다. 잇몸 퇴축은 잘못된 칫솔질 방법에 원인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올바른 칫솔질 방법을 배워야 하는 것이 필수다.
치아 겉면의 탈회=탈회란 브라켓(교정장치)으로 부착된 치아겉면이 하얀색으로 부식되는 것이다. 에스플란트 치과 병원 강미 원장은 “치아를 닦는 것을 게을리 하면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지만, 교정 장치를 장착한 사람의 경우 치아를 제대로 안 닦으면 치아 표면의 겉면이 탈회 될 수 있다”며 “치아 겉면이 탈회되면 미관상 좋지 않고 충치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교정치료의 재발=사람의 얼굴 변화에 대해 장기간 시행된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얼굴은 45세까지도 변한다. 이 변화 과정 중에는 치아의 위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턱의 위치, 입술의 변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유보영치과 유보영 원장은 “교정치료 후에도 정상적으로 치아의 위치는 조금씩 변하는데 이는 치아 위치가 주위의 환경조건에 적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라며 “교정 치료 후 일정기간 동안 유지 장치를 착용해 치아를 포함한 주위조직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브라겟교정시 치면손상: 교정치료시 치아에 부착하는 장치를 브라켓이라고 합니다. 이 브라켓은 시멘트로 접착하게 되는데 교정치료후 브라켓을 제거합니다. 이때 의도치 않게 브라켓을 붙인 시멘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건전한 에나멜질(법랑질) 손상 받게 됩니다.
투명교정시 치면손상: 브라켓을 붙이지 않고 하는 투명교정은 치아의 이동을 위해 인위적으로 치아와 치아를 삭제하는데 이는 의도적으로 치아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과 같습니다. 치아의 법랑질이 손상 되면 세균이나 프라그가 더 잘 달라붙는 환경이 되어 충치로 이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아래의 사진은 브라켓을 제거한 후의 사진과 아파프로 나노케어를 실시한 후의 사진입니다. 치면이 매끈해 진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디본딩후 치아의 평균 거칠기(RA)는 35.27, 아파프로 나노케어 이후 표면의 거칠기는 21.68
첫째, 플라그의 부착을 어렵게 하고 제거합니다.
위는나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들이 치면의 플라그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사진입니다.
둘째, 치아 표면의 미세한 흠집들을 메꾸어 수복합니다.
아파프로 나노케어후 치면의 흠집들을 수복한 후 치면의 거칠기 값을 측정하면 치아가 매우 매끈해 진것(RA, 평균거칠기 19.81)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셋째, 치면의 미네랄의 소실로 인해 탈회된 치아를 단단하게 재광화합니다.
아파프로 나노케어 시술영상
아파프로 나노케어의 원리 동영상
'충치예방(치아재광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린치아, 집에서 하는 시린이 치료! 아파프로 자가케어 (0) | 2018.01.17 |
---|---|
치아미백 부작용, 이가시리고 미백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이유는 바로 치면손상! (0) | 2018.01.17 |
스케일링 치석제거 급여 확대, 스케일링 후 치면관리 방법! (0) | 2018.01.12 |
집에서 하는 치주관리, 아파프로 나노케어 (0) | 2018.01.08 |
새로운 충치예방물질, 나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0) | 2018.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