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치예방(치아재광화)

에나멜(법랑질) 저형성증이란? 관리와 치료

에나멜(법랑질) 저형성증이란?

 



에나멜 저형성증이란 치아의 외피에 해당하는 에나멜(법랑질)이 저상적으로 발달하지 않는 증상을 말합니다. 에나멜저형성증이 있는 사람들의 치아는 크기가 작고 노랗거나 갈색치아로 강도가 약해 쉽게 손상 되거나 부러집니다.

에나멜 저형성증의 정확한 발생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미국인의 경우 14,000 1명꼴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에나멜 저형성증의 원인은?

 

에나멜저형성증은 AMELX, ENAM, 또는 MMP20 유전자의 변이에 기인합니다. 이 유전자들은 에나멜이 정상적으로 발달 할 수 있도록 단백질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합니다. 에나멜은 단단하고,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치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유전자의 변이는 에나멜 형성에 필요한 단백질 생성을 방해하고 결국 에나멜은 얇고 푸석하게 형성 됩니다.

변이된 유전자는 부모로부터 아이에게 전달 될 수 있고 이런 변이는 가족력이 없는 사람에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에나멜 저형성증의 증상은?

 

에나멜 저형성증의 주요 증상은 비정상적인 에나멜입니다. 유치와 영구치 모두에서 나타나며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상치아보다 작음

  2.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치아가 변색됨

  3. 손상받거나 부러지기 쉬움

  4. 민감함(지각과민)

  5. 교합이 맞지 않는 경우가 많음

    에나멜에 나타나는 정확한 특징은 에나멜 저형증의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타입1 : 에나멜 저성숙

     

    에나멜 저성숙은 형성되는 에나멜의 양이 부족한 증상입니다. 다른 말로하면 정상적인 에나멜은 딱딱한데 에나멜 저성숙이 있는 치아는 그렇지 못합니다. 치아가 작고 하얗거나 노랗거나 갈색으로 보이며 에나멜의 두께가 얇습니다. 치아에 점이나 굴곡 같은 것들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에나멜 저성숙증은 가장 흔한 에나멜저형성증 유형입니다.

     

    타입2: 에나멜 성숙부전

     

    에나멜 성숙부전은 에나멜 형성의 마지막 성장에 결함이 있는 경우입니다. 치아가 불투명한 크림색상으로 노란색이나 갈색을 띄며 민감도가 높습니다. 에나멜은 정상 두께이나 매우 약합니다. 따라서 단단한 도구로 긁을경우 떨어져 나오거나 부서집니다.

    에나멜 성숙부전은 에나멜저형성증의 20~40% 정도를 차지합니다.

     

    타입3. 석회화부전

     

    에나멜 석회화부전은 에나멜 형성의 초기단계에 결함이 생긴 것입니다. 에나멜은 전상 두께이나 매우 약합니다. 치아는 하얀색이나 노란색 또는 갈색일 확률이 높으며 에나멜이 매우 거칠어 뜨거운 것이나 차가운 것에 매우 민감합니다.

    모든 에나멜 저형증 케이스중 가장 드문 형태로 약 7%정도를 차지합니다.

     

    에나멜 저형성증 vs 상아질(덴틴) 저형성증

     

    두 질환 모두 치아의 발달과 관련된 유전적 질환입니다.

    상아질 저형성증은 덴틴(상아질)에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상아질은 치아의 중간층이라고 볼수 있으며 뼈와 유사한 조직입니다. 상아질 저형성증은 DSPP라는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상아질 저형성증이 있는 사람들은 치아가 투명해서 푸른회색 또는 노란갈색의 치아색상을 띕니다.

    두 증상모드 치아가 매우 약하며 파절 되기 쉽습니다.

     

    에나멜 저형성증의 진단 방법?

     

    가족력등을 참고하고 구강검진, X-ray등으로 치아의 내부와 외부를 관찰하여 진단 하나 주로 시각()으로 관찰하여 진단합니다.

    치과 엑스레이는 치아에나멜의 두께와 강도를 평와 어떤 치료를 해야 할지 판단하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에나멜 저형성증의 합병증은?

     

    치아에 에나멜이 없다면, 치아는 쉽게 손상 되고 부러지며, 잇몸질환과 충치가 쉽게 생깁니다. 에나멜 저형성증이 있는 환자는 특별히 꼼꼼한 구강관리가 필요합니다. 치과를 정기적으로 방문해 전문적인 치아 청소를 해야 하고 평가 해야 합니다.

    에나멜 저형성증은 외모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울이나 자존감등과도 관련이 깊습니다. 특히 청소년기의 환자들은 친구들 사이에서 더욱 위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에나멜 저형성증의 치료방법?

     

    현재, 에나멜 저형성증에 대한 표준화된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치료방법은 증상의 경중에 따라 달라지며, 나이와 전체치아상태를 고려 하여 판단합니다.

    가능한 치료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레진 또는 포세린 본딩

    치아와 유사한 레진이나 포세린을 치아에 붙이는 방법입니다.

     

    크라운 수복

    치아모양의 금, 포세린등으로 제작한 보철물을 치아를 갈아낸 뒤 씌우는 방법입니다.

     

    교정치료

    치아를 발치 후 이동시켜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철저한 구강위생 관리

    보철적인 수복치료이전에 철저한 구강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에나멜 저형성증으로 인해 잇몸이나 치아가 망가지면 치료는 더 어려워집니다. 치아가 시린 경우 적절한 조취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치아가 너무 시리면 관리가 안되고 충치나 치주질환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