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미백의 원인과 부작용
예뻐지고 건강해 보이고 싶은 마음으로 치아를 하얗게 보이도록하는 치아미백을 합니다.
치아미백은 고농도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전문가 치아미백(오피스 블리칭)과 저농도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자가미백(홈블리칭)으로 나뉩니다.
치아가 변색이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치아가 변색되는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치아의 구조와 성분을 이해해야 합니다.
치아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라는 미네랄 덩어리입니다.
또한 우리 눈으로 보이는 치아의 겉면은 에나멜 기둥이 촘히 모여 있는 구조입니다.
선천적인 이유도 있지만 대부분 후천적인 원인 때문입니다.
담배, 커피, 탄산음료, 불량한 구강관리 습관등에 장기간 노출 되면 치아가 본래의 하얀색상과 광택을 잃고 누렇게 변색되게 됩니다. 치아의 법랑질은 우리 인체중 가장 단단한 성분이지만 현미경으로 보면 미세한 기둥들이 모여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미세한 기둥들 사이로 산성분이 침투하게 되고 치아를 거칠게 합니다. 치아가 거칠어 지면 그만큼 이물질이 쌓이기 쉽게 되며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플라그(세균덩어리)가 쌓이고 충치로 발전하게 됩니다.
미백은 치아를 거칠게 합니다. 치아표면을 탈회(미네랄이 녹는 현상)시키기 때문입니다.
치아미백으로 인해 치아가 거칠어지는 현상은 치아미백전과 미백후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미백은 기본적으로 치아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해서 치아를 하얗게 보이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치아를 하얗게 하도록 이물질을 제거할때 치아의 에나멜(법랑질)도 함께 손상 받게 됩니다. 특히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 치마미백은 절대 금기입니다. 치아의 상아질이 노출된 부위에 미백제가 닿으면 엄청난 자극이 될뿐 아니라 상아질은 법랑질에 비해 매우 약한 구조로 손상이 더 잘 되기 때문입니다.
치아미백의 대표적인 부작용
치아가 탈회되어 하얗게 보이게 되면 여러가지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째 미네랄의 소실로 치아가 약해지고 광택(윤기)가 없습니다. 둘째 치면이 거칠어져 있어 착색에 매우 취약해 미백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합니다. 노출된 상아질을 자극하며 시린이 증상을 유발합니다.
치아미백후 치아가 시린 이유는 무엇일까요?
미백제로 인해 법랑질이 탈회되고 상아질이 노출 되기 때문입니다. 상아질은 상아세관이라는 미세한 구멍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미세한 구멍들 사이로 자극적인 물질들이 침투하며 치아가 시리거나 아프다고 느끼게 됩니다.
.
그러면 치아미백의 부작용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치아와 같은 성분의 나노입자로 약해진 치면에 미네랄을 공급하고 거칠어진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프로케어와 자가케어가 모두가능한 아파프로 나노케어
아파프로 치아재광화 촉진페이스트
'충치예방(치아재광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프로, 임플란트 보철물의 유지관리, 구강내 세균관리 (0) | 2018.02.28 |
---|---|
치아미백 부작용과 해결방안, 아파프로 나노케어 (0) | 2018.02.28 |
무불소 치아재광화 페이스트 : 충치예방(탈회치료), 치면수복, 시린이 완화 (0) | 2018.02.01 |
치과에서 나노기술의 미래 (0) | 2018.01.31 |
아파프로 나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연구논문 (0) | 2018.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