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교정치료중 있을 수 있는 부작용, 예방과 치료가 중요

어떤 치료나 약도 문제가 전혀 없지 않습니다. 교정치료 역시 그러하죠.
때문에 교정과 의사와 치료 전 혹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대해 미리 알아두면 환자가 희망하는 치료 목적 및 결과에 대한 차이를 좁힐 수 있죠.

 지금부터 안내 드리는 6가지 문제점은 반드시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치료 중 주의 사항만 잘 지킨다면 거의 예방이 가능하며 발생한다 해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답니다. 

그러나! 너무 시시한 것으로 넘기지 마시고 문제점이 발견되는 즉시 교정과 의사와의 빠른 상담이 필요하다는 것 명심하시길 바랄게요!!


①치아표면 탈회
치아표면이 하얗게 부식되는 것을 뜻하는 탈회, 산도나 높거나 당분이 과다한 음식을 너무 많이 먹거나 양치질을 잘 안 하면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데, 교정 치료 중인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칫솔질이 어려워 조금만 관리에 소홀해도 탈회가 쉽게 발생합니다. 만약 정도가 심하다면 충치로 이어질 수 있답니다.
②잇몸염증
역시 교정치료중 양치질에 소홀하면 잇몸이 잘 붓고 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개의 경우 양치질을 잘 하고 관리에 신경을 쓰면 잘 발생하지 않으며, 만약 나타난다고 해도 교정장치를 제거한 후 치아를 신경 써서 닦으면 별도의 치료 없이 나아질 수 있습니다.
 

③잇몸퇴축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잇몸이 내려가 치아 뿌리가 노출되는 잇몸 퇴축이 나타납니다.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으로 누구에게나 나타나지만, 교정치료를 받는 성인은 좀 더 발리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잇몸퇴축으로 치아 사이에는 블랙트라이앵글이라는 검은 틈이 생기는데요. 이에 대한 치료는 교정과의사와의 충분한 상의가 필요합니다교정치료시 구강관리에 소홀하면 잇몸퇴축은 더 빨리 진행될 수 있으니 평소 구강 청결에 신경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④턱관절 장애
교정치료중에는 턱관절 통증이나 관절잡음(입을 벌릴 때 소리가 나는 증상) 등 관절 장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교정 치료 중 나타나는 턱관절 장애는 학술적 연구에 따르면 교정 치료와는 관련이 없으나, 일단 증상이 있다면 이에 대한 치료를 받아야 하며 증상이 나아질 때 까지 교정치료를 중단해야 할 수 있습니다.


⑤치아 뿌리 흡수
교정치료중 치아 뿌리가 뼈속을 이동하는 동안 흡수되어서 짧아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치아 뿌리 흡수(치근 흡수)현상은 환자의 몸이 치아 움직임에 반응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그 흡수 정도는 경미해 특별히 문제 되지는 않습니다만 갑상선 질환 등의 문제로 치아 뿌리가 심하게 흡수될 수 있으니 경우에 따라 교정치료를 중단하고 신경치료를 진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⑥교정 치료 재발
인체는 급격한 변화가 있을 때 본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답니다. 다이어트 요요현상도 이것으로 설명할 수 있지요. 2~3년이라는 시간 동안 치아교정으로 치아를 움직이면 우리 몸은 이를 위험상황으로 인식해 원래 치아 상태로 돌아가려 하죠. 때문에 교정치료가 끝난 후에도 재발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교정치료 후 일정기간 동안 유지 장치를 착용해야 합니다. 이 기간 동안은 환자의 더욱 적극적 협조가 있어야만 재발을 막을 수 있다는 걸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출처: 대한 교정학회 홈페이지

아파프로
치아와 치주에 좋은 치아와 같은 성분(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나노입자 페이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