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소에 관한 불편한 진실, 밎거나 말거나
불편한 진실 :미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 받은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는 1945년부터 오늘날까지 물에 불소를 타고 있다.
치의학계의 전문가들은 미국에서 수도물에 불소를 첨가하기 시작하기 1년 전부터 이미 불소가 치아 건강에 해롭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 실제로 미국치과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에서는 1.6~4ppm 정도의 불소를 수돗물에 풀 경우, 이를 마시는 성인의 절반 이상이 틀니(false teeth)를 해야 할 정도로 이가 상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1944년에 발표하기도 했음. 게다가 40만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에서 식수에 불소가 단 1ppm 만 함유되어 있어도 충치 위험이 무려 25%이상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5년에는 New York 주 Newburgh와 Michigan주 Grand Rapids의 상수도에 불소가 첨가되었고, 이후 50년간 60%이상의 미국 국민이 최소 1ppm이상의 불소가 첨가된 수돗물을 마시고 있음. 현재는 75% 이상의 미국 상수원에 이 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실정임. 불소를 둘러싼 여러 궤변 중 하나인 “불소가 치아 형성에 유익하다”는 주장은 “전국적인 규모의 불소 홍보 캠페인”에서 일찌감치 삭제되었음. 이 주장이 거짓으로 밝혀질 경우, 불소 홍보 캠페인 전체가 사기로 밝혀질 것을 우려한 FDA와 CDC(질병통제본부)는 이 문장만 빼 버리고, 계속해서 불소가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대중을 세뇌하였음.
불소가 맹독성 신경 화학물질이며, 신경 세포의 필수 기능에 이상을 일으켜 알츠하이머,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불임, 기형아, 당뇨병, 암, 지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입증된 바 있음. 알루미늄은 혈액뇌관문(blood-brain barrier)을 “속이는” 작용을 통해 화학물질이 뇌 조직에 침투하도록 유도함 (불소는 알루미늄 생성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임-옮긴이).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도 불소를 사용하고 있다?
프랑스를 비롯한 독일, 일본,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 핀란드, 인도, 영국에서는 특별 위원회와 보건 부문 장관들이 불소의 위험성에 관한 증거를 검토한 후, 불소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음.
불소가 물을 소독해준다?
불소는 군대에서 사용하는 신경 가스의 원료 중 하나임. 플루오르화 나트륨(Sodium Fluoride)은 알루미늄과 비료 제조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유해 폐기물이며, 바퀴벌레 및 쥐약의 원료로도 많이 쓰임.
불소가 충치를 예방하고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준다?
법랑질(dental enamel)이 형성되는 유아기에 불소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불소침착증(dental fluorosis)이 생기는 경우가 많음. 산성 물질 중에서도 유난히 뛰어난 조직(tissue) 침투력을 자랑하는 불소는 체내 칼슘 및 마그네슘을 걸러내 연조직을 손상시키고 뼈를 약화시킴. (http://tuberose.com/Fluoride.html)
* 흠…이 주장을 믿고 있는 것은 미국인들만은 아닌 듯? 동시성(Synchronicity)이었는지 이번 연재를 준비하던 중 조선일보에서 다음과 같은 기사를 발견하고 경악했습니다. 신문지면 하나를 거의 다 차지하면서 대문짝만하게 실렸는데…
물의 권위자라는 사람들이 나와서 “적당한 불소는 치아 건강에 좋다.”, “소독약 잔여물은 끓이면 날아간다.”, “염소 냄새가 싫으면 며칠 두었다가 먹으면 된다.”등의 말을 아무렇지도 않게 막 내뱉고 있더군요. 집에서 수돗물 먹는다고 한 사람도 2명 있는데…정말 수돗물 먹는지 궁금하네요. 많이 드시고 치아 건강 지키시길… (참고로 옛날에는 치약 선전할 때 ‘불소 함유’를 자랑으로 내세웠었음… ㄷㄷㄷ)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3&aid=0002566603
물에 함유된 불소는 증발한다?
물을 밖에 내 놔도 불소는 증발하지 않음. 끓이거나 얼려도 절대 제거되지 않으며, Brita(정수기 상표-옮긴이) 같은 평범한 정수기로도 걸러낼 수 없음. 역삼투압(reverse osmosis)으로는 제거할 수 있으며, 약수에는 애초에 들어있지 않음.
미 치과협회(ADA)는 치의학계를 손아귀에 쥐고 있으며, 따라서 치과 의사들은 불소의 위험성을 공개적으로 비판할 수 없는 처지에 있음. ADA가 주(州) 치과 의사회(State Dental Board)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의사 면허를 취소해 버릴 수도 있기 때문에, 여러분의 (치과)주치의가 불소에 관한 진실을 얘기해 줄 가능성은 없다고 봐도 됨. 대다수의 브랜드 치약이 최소 1,000ppm 이상의 불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어린이가 튜브 하나 분량의 치약을 먹을 경우 사망할 수 있음.
불소는 FDA로부터 승인을 받은 적도 없고, “안전 및 효능 요건”도 충족시키지 못함. FDA는 불소를 “의사로부터 처방 받아야만 구입할 수 있는 약(prescription drug)”으로 분류했으며, 이 “약”은 농도에 대한 아무런 규제도 없이 상수원에 투입되고 있음. 이런 것들을 규제해야 할 국가의 기관에서 이처럼 악몽 같은 상황을 지금까지도 방치하고 있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1,900년대 초반에 비타민 B12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중요 비타민이 발견되고 자연 치료제가 인기를 끌기 시작하자, 의약계는 사실상 망할 위기에 처하게 되었음. 불소는 질병을 일으켜 돈을 벌어들이기 위해 계획된 집단 투약 실험이었으며, 정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의료 서비스는 사실상 유명무실하다고 할 수 있음.